정보를 숫자에 담다: 행렬식(determinant)
안녕하세요! 저번 글에 이어서 오늘은 행렬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행렬식은 정방행렬에서 구하는 하나의 값입니다. 행렬 A가 있다면, A의 행렬식은 이렇게 2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만약 A가 2x2 행렬이라면, 이렇게 구합니다. 기하학적인 의미는 (a,b), (c,d)를 위치벡터로 봤을 때 두 벡터가 만드는 평행사변형의 넓이와 같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외적이 생각나지 않나요? 외적한 값의 크기는 바로 두 벡터의 크기를 곱한다음 두 벡터의 사잇각의 사인값을 곱하는 것이었습니다. (a,b)를 x벡터, (c,d)를 y벡터로 본다면 충분히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외적과 행렬식은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이제, 3x3 행렬의 행렬식을 봅시다. 이 식의 2x2 행렬식을 풀어..
2024.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