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물팍

분류 전체보기25

[고전역학] 인생은 속도가 아닌 방향?: 변위와 속도 (2) 모두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새해가 밝은 만큼 앞으로 하시는 일 다 잘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리고 제 블로그도 많이 방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우리는 저번 글에서 변위와 속도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이 개념의 수학적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위치와 속도에 관한 함수를 다뤄보며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그렇게 어렵지 않으니 차근차근 살펴봅시다! 그전에 '벡터'와 '위치벡터'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한번 보고 와주세요!https://wgco-physicspark.tistory.com/4('벡터와 스칼라' 편)https://wgco-physicspark.tistory.com/5('위치벡터와 기저벡터' 편) 먼저 '시간에 따른 위치'를 나타내는 함수를 라고 하겠습니다. 여기서 변수 .. 2024. 1. 1.
[고전역학] 인생은 속도가 아닌 방향?: 변위와 속도 (1) '인생은 속도가 아닌 방향'이라는 말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저는 이 말이 마음에 굉장히 와닿습니다. 특히나 요즘 SNS에서 '영 앤 리치' 행세가 유행을 타면서 누구나 빠르게 돈을 벌고 싶어 하고 일확천금의 기회를 노리는 사람들도 많아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때 우리가 다시 한번 '인생은 속도가 아닌 방향'이라는 말을 되새겨봐야 하지 않을까요...? 하지만 물리학의 관점에서는 이 말은 틀린 말입니다.... 왜일까요? 그전에 '벡터'와 '위치벡터'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한번 보고 와주세요!https://wgco-physicspark.tistory.com/4('벡터와 스칼라' 편)https://wgco-physicspark.tistory.com/5('위치벡터와 기저벡터' 편)이.. 2023. 12. 31.
자연이 선택한 주소: 위치벡터와 기저벡터 여러분들은 어디 사시나요? 저는 현재 대한민국 서울에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저의 위치를 설명하는 방식은 지구라는 행성 위에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안에 서울이라는 도시를 여러분이 알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설명이 되죠. 그렇다면 만약 아무런 물체도 없는 공허한 곳에서 무엇을 '기준' 삼아 저의 위치를 설명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저번 시간에 자연을 설명하는 두 가지 도구, 벡터와 스칼라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 중에서 벡터라는 아이를 이용하여 위치를 설명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바로 '위치벡터'입니다! 위치벡터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 벡터를 '좌표공간'이라는 곳에 놓아봅시다. 좌표공간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x축, y축, z 축으로 이루어진 무한한 3차원 공간입니다. 그 공간에 있는 어떤 점을 (x.. 2023. 12. 28.
자연이 선택한 두 가지 논리 도구: 벡터와 스칼라 이전 글에서 물리는 자연을 설명하기 위해 수학의 논리를 빌린다고 말씀드렸죠. 지금이 그때입니다. 물리에서는 이 두 가지 도구로 거의 모든 개념을 설명하고 수식을 전개합니다. 시간, 공간, 질량도 두 가지 도구로 표현하죠. 그럼 지금부터 같이 천천히 알아봅시다! 벡터를 수학적으로 정의하자면 "rank 1 tensor"입니다. tensor는 뭐고 또 rank 1은 뭘까요... 벡터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물론 이것은 지금 굉장히 어려운 개념이죠. 하지만 지금 이것을 알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일단 어떻게 rank 1 tensor를 어떻게 생겼는지만 잠깐 보죠. 그럼 이제 우리와 조금 더 친숙한 벡터 개념을 보도록 합시다. 벡터는 '크기와 방향을 가진 물리량' 입니다. 이 정의는 많이들 들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 2023. 12. 27.
[고전역학] 자연을 구성하는 요소 과연 자연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요?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정말 많은 것들이 눈에 보이죠. 사람, 동물, 나무, 책 등등 우리 주변에는 굉장히 많은 종류의 '무언가'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많은 것들은 본질적으로 같은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죠. 뿐만 아니라 이 세계, 자연은 보이지 않는 어떠한 거대한 무대 위에 있다는 사실!! 그럼 물리에서 다루는 자연의 기본 요소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저는 자연을 구성하는 요소를 3가지로 나누겠습니다. 이 3가지 요소는 바로바로..... 시간, 공간, 질량입니다!!!이제부터 이 세 가지 요소들을 차근차근 살펴보죠. 1. 시간 시간은 우리의 세상이 존재하도록 하는 무대의 일부입니다. 우리는 보통 시간의 경과를 '변화'로 인지하게 되죠. 물체의 이동.. 2023. 12. 27.
물리의 기본: 상상력 물리를 잘하기 위해서는 수학을 잘해야 된다는 말, 누구나 들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물론 완전히 틀린 얘기는 아니지만.... 완전히 맞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물리학과 학생으로서 제가 생각하는 가장 필요한 부분은 바로바로..... 상상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상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서 "왜?"라는 질문과 함께 그 원인을 '상상'하는 능력이 물리를 공부하는 데 있어서 가장 필요한 능력이 아닐까 합니다.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의 가장 원초적인 원리를 찾는 학문이 물리입니다. 물리학자들이 자신들의 상상력을 동원해서 자연계의 원리를 풀어나가는 겁니다. 그래서 끊임없이 의심하고 상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새로운 물리 지식을 배웠다면 그 지식을 현실에 입혀서 물체,.. 2023. 12. 25.